(사진 ⓒ 한국상공인신문)
뇌졸중 전조증상만으로 미리 알고 대비하기는 어렵지만 비용이 비교적 부담이 적은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기적 검사를 받아 볼 수 있다.
초기에 알기 어려운 질병은 정기적 건강검진을 통해 알 수 있지만 MRI나 CT촬영은 비용적으로 부담이 크기에 뇌혈관질환 등 뇌졸중 전조증상 전에 알기가 어렵다. 단 비교적 부담이 적은 방법이 존재하는데 바로 경동맥 초음파 검사다. 경동맥은 대동맥에서 뇌로 가는 혈액의 80%가 통과하는 혈관으로 이 검사를 통해서 뇌졸중 전조증상 전에도 부분적 동맥 폐색 또는 협착을 진단할 수 있다.
아울러 경동맥협착증은 혈관 벽이 점차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액공급량이 급격하게 감소해 뇌졸중 전조증상이 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한내과학회지에 의하면 경동맥 혈관벽 두께가 1mm 이상이 되면 뇌졸중 전조증상 위험률이 남성 3.6배 여성은 5.5배에 달하고 경동맥이 70% 이상 막힌 상태로 5년이 지나면 발병 가능성이 50% 이상으로 급격히 높아진다고 한다.
또한 혈관의 경우 50%이상 막히게 되어도 스스로 자각 가능한 전조증상이 거의 없다시피 하기에 뇌졸중 전조증상을 느끼기가 힘들다. 그렇기에 가족력이 있거나 당뇨, 고혈압 등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뇌졸중 검사비용이 비교적 작은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통해 주기적인 체크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
한편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혈맥이 막히지 않고 깨끗하게 유지가 가능하도록 기름지고 자극적인 식습관은 고치고 꾸준한 운동을 하는것이 좋다.
<저작권자 ⓒ http://biznstory.tistory.com>
'피플in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방법, 무실적도 해야하는 이유는? (0) | 2022.07.20 |
---|---|
에어컨 열대야취침 모드, 권장 사용 방법은? (0) | 2022.07.19 |
벌초시기, 추석 벌쏘임 사고 주의사항, 예방하는 법은? (0) | 2022.07.19 |
50대 4차 접종 시작, 예약 신청 대상 및 방법은? (0) | 2022.07.18 |
소상공인 확인서 발급방법 & 주의사항은? (0)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