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한도상향을 하려면 일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신용카드 이용한도란 카드사에서 개인에게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해준 금액을 말한다. 카드사는 사용자의 소득, 연체정보, 금융거래 실적 등을 토대로 이용한도를 지정한다.
때문에 사용자의 신용도가 변동되거나, 카드 결제대금이 연체되거나, 거래 실적에 변동이 생기면 이용한도도 바뀌게 된다. 또, 신용카드 사용한도는 '월 기준' 이 아닌 '통합 이용한도'를 뜻한다는 것도 꼭 기억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도가 이백만 원인 신용카드로 백만 원 짜리 전자기기를 2개월 할부로 결제했다면 남은 한도는 백만 원이다. 다음 달 결제일에 오십만 원을 갚으면 한도는 다시 채워져 백오십만 원이 되는 것이다. 2개월 할부로 백만 원을 모두 납부하면 한도가 이백만 원으로 복구된다.
신용카드 한도 기준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월 가처분 소득, 신용도, 카드 사용 및 연체 내역, 재산 상황 등을 카드사의 신용카드 한도상향 기준에 따라 심사해 책정하게 된다. 신용카드 한도상향을 하고 싶다면 그에 앞서 애초에 카드 사용 신청 시 가능한 최대로 높은 한도를 기재하는 것이 좋다. 카드사에서 신용카드 한도상향을 고려할 때 신청 시점에 신청자가 기재한 희망 한도를 고려하기 때문이다.
그다음으로 신용카드 한도상향을 하려면 한도 금액의 50%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방법이다. '신용카드 한도 소진율'이라고도 하는데 신용카드 총 사용금액 대비 내가 보유한 모든 신용카드 한도의 합계를 말한다. 매월 한도까지 신용카드 사용금액을 모두 채우는 고객의 경우 카드사가 고객이 대금을 제때 지불하지 못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하게 된다.
때문에 한도 금액 내의 30~50% 정도를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신용카드 한도상향의 비결이다. 또 신용카드 한도상향을 위해서는 현금서비스, 신용카드대출, 카드론 등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는 가능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https://bizknow.tistory.com>
'피플in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권 재발급 대상과 방법, 필요한 서류 및 유의사항은? (0) | 2023.08.30 |
---|---|
거북목증후군 발생 원인과 진행 과정, 내원 전 자가진단법은? (0) | 2023.08.29 |
근감소증의 원인과 증상, 예방할 수 있는 운동과 식품은? (1) | 2023.08.28 |
블루하우스 콘서트, 청와대 헬기장에서 듣는 K-뮤직 관람하려면? (0) | 2023.08.24 |
골관절염 증상, '완치가 어렵다면 예방이 중요' (0) | 2023.08.23 |